2020. 4. 20. 11:45ㆍ재테크 경제
사재기 뜻 / 한국 사재기 현상 없는 이유
안녕하세요 아로밍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비상이 걸렸는데요. 이로 인해서 세계 곳곳에서 사재기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식량이나 생필품을 쟁여두는 것이지요. 요즘 뉴스에서도 많이 보이는 단어, 사재기란 무엇일까요?
사재기 뜻
-물건 값이 오르거나 공급이 달릴 것을 예상하고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사 둔다.
이렇게 사재기를 해두면 정말 필요한 사람은 조금의 여유분도 확보하기 어렵고 나중에 공급이 어려워지면 가격이 올라갈 것을 예상하고 매점매석을 해뒀다가 폭리를 취하고 물건을 되파는 경우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기 때문에 법률로써도 규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이렇게 마트 매대가 텅텅 빌 정도로 사재기 현상이 심한편이라고 하는데요. 놀라운 점은 전 세계 모두가 코로나로 힘든 시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사재기 현상이 별로 없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편리한 배송 시스템
우리나라의 안정적이고 빠른 배송 시스템은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정도입니다. 2015년 마켓 컬리가 출범하면서 오후 11시에 주문하면 다음날 오전 7시에 배송해주는 '샛별 배송'이 나오면서 쿠팡이나 다른 배송업체들도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경쟁이 심화되면서 신속함과 빠른 배송 시스템은 더 안정화되어갔습니다. 그래서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게 되고 배송물량이 많이 늘었음에도 이전부터 구축해놓은 배송 시스템으로 이 물량들을 소화하면서 마트 매대가 텅텅 비는 사재기 현상은 크게 없었습니다. (배송 기사님들 감사합니다^^)
두 번째, 많은 유통점
길을 걷다 보면 정말 자주 다양한 편의점, 마트를 볼 수 있습니다. 도심의 경우 100m마다 편의점이 있을 정도니 얼마나 많은 편의점이 있는지 알겠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집 앞 편의점 또는 마트에 물건이 없어도 다른 지점에서 살 수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 때문에 사재기 현상이 거의 없는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물건을 살 수 없다는 공포감, 불안감이 올라갈수록 사재기를 해두는 경향이 짙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오프라인으로도 충분한 공급으로 인한 안정감과 이에 더해 온라인 배송 시스템까지 안정적이니 굳이 사람들이 사재기를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한강에서 짜장면 시켜먹는 것은 일도 아닌 요즘, 우리나라의 배달, 배송 시스템에 한번 더 자부심을 느끼고 감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생필품이나 식료품을 구하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은 상상도 하기 싫을 만큼 정말 기본적으로 지켜져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각 국에서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몸싸움까지 일어난다는 기사를 보면 안타깝습니다. 얼른 코로나를 극복하고 우리나라뿐 아니가 전 세계가 안정을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 알려드려요 (0) | 2020.04.21 |
---|---|
분양권 매매 절차 알려드려요 (0) | 2020.04.20 |
알뜰폰 / SK세븐모바일 / 무제한 월33000원 저렴한 요금제 (0) | 2020.04.20 |
자기계발서 추천 / 부의 추월차선, 백만장자 시크릿, 시작의 기술 (0) | 2020.04.18 |
아이폰 가계부 어플 '위플머니' 추천해요 (2) | 2020.04.18 |